안녕하세요! 카운팅스타 입니다! 🌟

오늘은 국민연금 포트폴리오를 분석하고, 이를 포트폴리오 이론과 연관지어 설명하는 글을 준비했어요. 포트폴리오 이론은 자산 배분 전략에서 중요한 개념인데요, 국민연금이 어떻게 자산을 관리하는지 살펴보면 이 이론이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는지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국민연금이란?
먼저 국민연금은 한국 국민의 노후를 대비해 운영되는 공적 연금 제도입니다. 국민이 납부한 보험료를 모아 다양한 자산에 투자해 수익을 창출하고, 그 수익을 바탕으로 미래에 연금을 지급하는 방식이죠.
그런데, 국민의 노후 자금을 관리하다 보니 막대한 금액을 투자하게 됩니다. 2024년 기준, 국민연금의 운용자산은 약 1,000조 원에 달하고 있어요. 지난해 80조 원의 손실이 발생하는 소식이 들려와 심장을 철렁이게 했는데요. 국내 및 해외주식은 인플레이션 심화에 따른 미국의 공격적 긴축과 러·우크라 전쟁 장기화로 증시불안 요인이 지속하면서 손실이 특히 컸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렇게 큰 자금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선 자산 배분이 매우 중요합니다. 여기서 포트폴리오 이론이 적용됩니다.
최근에는
국민연금공단은 자산 배분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기준 포트폴리오'를 도입하고, 위험자산(주식 및 대체투자) 투자 비중을 65%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기존의 전략적 자산 배분(SAA) 방식은 자산군별 목표 비중을 사전에 설정해 경직성이 있었으나, 새로운 기준 포트폴리오는 시장 상황에 따라 투자 비중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국민연금은 수익률을 높이고, 기금 고갈 시기를 지연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https://biz.chosun.com/stock/market_trend/2024/05/02/3LNDIBNT6NAT7HUT6WZN2SAY64/
국민연금, 위험자산 투자 비중 56→65% 확대한다
국민연금, 위험자산 투자 비중 56→65% 확대한다
biz.chosun.com
2. 포트폴리오 이론이란?
포트폴리오 이론은 1950년대 경제학자 해리 마코위츠가 처음 제시한 이론으로, 자산을 분산 투자해 위험을 최소화하면서도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략을 말합니다. 주요 개념은 분산 투자와 효율적 경계(Efficient Frontier)입니다.
- 분산 투자: 여러 자산에 분산 투자함으로써 특정 자산에서 손실이 발생해도 다른 자산에서 이익을 얻어 손실을 상쇄할 수 있다는 원리입니다.
- 효율적 경계: 같은 위험 수준에서 가장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또는 같은 수익을 기대할 때 가장 낮은 위험을 가지는 포트폴리오를 말합니다. 투자자는 이 효율적 경계 상의 포트폴리오를 선택함으로써 가장 효과적인 자산 배분을 할 수 있죠.
국민연금의 포트폴리오도 이 이론에 기반해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nps.or.kr/jsppage/fund/mcs/mcs_02_02.jsp
운용현황 > 적립현황
국민연금기금은 연금보험료 수입, 기금 운용수익, 국고보조금 등의 재원으로 조성되며 연금급여지급과 관련된 제비용 집행 분을 제외한 자금으로 적립되고 있습니다.
www.nps.or.kr
3. 국민연금의 포트폴리오 구성
국민연금은 위험을 최소화하면서도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기 위해 자산을 여러 가지로 나누어 투자하고 있습니다. 크게는 국내외 주식, 국내외 채권, 그리고 대체 투자(부동산, 인프라 등)로 나뉩니다. 국민연금의 자산 배분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어요.
포트폴리오 현황 (단위: 조 원, 2024년 7월 말 기준)
- 국내외 주식: 주식은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그만큼 위험도 크죠. 국민연금은 전체 포트폴리오에서 47%가량을 국내외 주식에 투자하고 있는데, 이는 중장기적으로 높은 수익을 기대하는 투자 전략입니다. 주식은 경제 성장과 맞물려 장기적인 상승을 기대할 수 있기에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 국내외 채권: 채권은 주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위험이 낮아요. 국민연금은 약 36%의 자산을 국내외 채권에 투자하며, 이는 포트폴리오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특히 경제 상황이 좋지 않을 때, 채권은 주식 손실을 일부 보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죠.
- 대체 투자: 국민연금은 부동산, 인프라, 사모펀드 등에도 투자합니다. 이는 16%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며, 주식과 채권의 상관관계가 낮아 전체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분산하는 역할을 합니다. 대체 투자는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투자 방식입니다.
이처럼 국민연금은 주식, 채권, 대체 투자를 적절히 조합해 투자 위험을 분산하고,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각 부문과 금융 쪽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국내주식, 해외주식 모두 규모가 증가했으나, 해외주식과 채권이 특히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2019년에 비해 약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이는 국민연금이 국내에만 의존하지 않고, 해외 시장에서도 수익을 창출하려는 전략을 강화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2020년대 중반 이후 글로벌 주식시장의 회복과 맞물려 해외 주식의 비중이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면 과연 해외의 어떤 기업과 종목에 투자했을까요?
위의 그래프는 2023년 말 기준 국민연금의 Top 10 투자 종목의 자산군 내 비중을 보여줍니다. Apple, Microsoft, Amazon 등 주요 글로벌 기업에 투자되어 있고, Apple과 Microsoft의 비중이 가장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Q. 그러면 왜 국민연금은 해외에 투자를 이렇게나 많이 할까요?
A. 국민연금이 해외에 투자하는 이유는 주로 리스크 분산과 안정적인 수익 창출을 위해서입니다. 국내 시장만으로는 변동성에 대한 위험을 충분히 관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해외 자산에 투자함으로써 위험을 줄이고 더 많은 기회를 찾습니다. 특히, 미국과 신흥 시장처럼 성장 잠재력이 높은 곳에서 더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으며, 국내 시장의 투자 기회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글로벌 시장에서 다양한 기회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국민 연금 수익률
국민 연금의 성과는 어떻게 될까요? 아래의 그래프를 보면, 2021년~2023년도에 가장 수익률이 높았습니다. 1988년 이래로 꾸준히 수익이 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벤치마크대비 수익률 (원화) 해석
- 기금 수익률이 벤치마크 수익률보다 높으면, 해당 기금이 시장 평균보다 더 좋은 성과를 낸 것이며, 반대로 낮으면 기금이 벤치마크보다 성과가 떨어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시장대비는 이 두 수익률의 차이를 나타내며, 양수인 경우 기금이 더 좋은 성과를 보인 것이고, 음수인 경우 반대입니다.
5. 포트폴리오 이론: 국민연금
이제 국민연금의 포트폴리오를 포트폴리오 이론과 비교해볼게요.
- 분산 투자: 국민연금은 주식, 채권, 대체투자(부동산, 인프라, 사모펀드 등)와 같은 여러 자산군에 투자하여 위험을 분산합니다. 주식과 채권, 대체 투자는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어 특정 자산에서 손실이 발생해도 다른 자산에서 손실을 상쇄할 수 있죠. 이는 마코위츠의 분산 투자 원칙을 그대로 따르고 있습니다.
- 효율적 경계: 포트폴리오 이론에서 말하는 효율적 경계란, 동일한 위험 수준에서 가장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말합니다. 국민연금은 위험 대비 수익률을 최대화하기 위해 자산군 간의 비율을 조정하며, 효율적 경계에 가까운 포트폴리오를 유지하려고 합니다.
국민연금은 국내외 경제 상황과 시장의 변동성을 고려해 자산 배분 전략을 지속적으로 조정합니다.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 국민에게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죠.
5. 다른 나라는 연금을 어떻게 관리하고 있을까?
1. 미국: 공적 연금 기금(CalPERS)
미국의 캘리포니아 공무원 연금 기금(CalPERS)는 세계 최대 연금 기금 중 하나로, 국민연금과 유사한 분산 투자 전략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CalPERS는 국내외 주식, 채권, 대체투자(부동산, 인프라, 사모펀드 등)와 같은 다양한 자산군에 투자하며, 마코위츠의 포트폴리오 이론을 기반으로 자산 배분을 조정합니다. 특히, CalPERS는 글로벌 시장에서 수익을 창출하면서 리스크를 분산시키기 위해 해외 투자 비중을 늘려왔습니다.
2. 캐나다: 캐나다 연금 플랜(CPP)
캐나다 연금 플랜(Canada Pension Plan, CPP)도 국민연금과 비슷하게 글로벌 분산 투자 전략을 따르고 있습니다. CPP는 글로벌 주식, 채권, 대체투자(부동산, 인프라, 사모펀드)를 포함하여 매우 다양하고 광범위한 자산군에 투자하며, 리스크 관리와 수익 극대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캐나다 연금 플랜은 특히 대체투자와 사모펀드에 높은 비중을 두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장기적인 수익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3. 노르웨이: 정부 연기금 글로벌(GPFG)
노르웨이 정부 연기금 글로벌(Government Pension Fund Global, GPFG)은 세계 최대의 국부 펀드( 1천380억달러
출처 : 연합인포맥스(https://news.einfomax.co.kr) )로, 자산 배분 측면에서 국민연금과 비슷한 원칙을 따르고 있습니다. GPFG는 국내외 주식, 채권뿐만 아니라 대체투자와 인프라에도 투자하고 있으며, 매우 엄격한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기준을 적용해 투자 결정을 내립니다. 이 펀드도 글로벌 분산 투자를 통해 위험을 줄이면서 장기적인 수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사용합니다.
4. 일본: 일본 연금 투자 기금(GPIF)
일본 연금 투자 기금(Government Pension Investment Fund, GPIF)은 세계에서 가장 큰 연금 기금 중 하나로, 마코위츠의 포트폴리오 이론을 기반으로 리스크와 수익 간의 균형을 맞추는 자산 배분 전략을 사용합니다. GPIF는 국민연금과 유사하게 국내외 주식과 채권, 대체투자에 분산 투자하며, 경제 상황에 따라 자산 배분을 조정하는 유연한 전략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현재 GPIF 총액의 절반가량이 달러화로 된 해외 주식과 채권에 투자돼 있습니다. 2014년에 기존 23%이던 해외 자산 투자 비중을 40%로 상향하고 2020년 50%로 더 높였습니다.
국민연금뿐만 아니라 미국, 캐나다, 노르웨이, 일본 등 주요 국가의 연금 기금도 유사한 포트폴리오 이론을 사용하여 자산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이들 연금 기금은 자산의 분산 투자와 위험 관리를 통해 장기적인 안정성과 수익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으며, 글로벌 투자와 대체투자 확대 전략을 공통적으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국민연금뿐만 아니라 여러 국가의 연금 기금이 포트폴리오 이론을 바탕으로 한 분산 투자 전략을 통해 장기적인 안정성과 수익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을 살펴봤습니다. 글로벌 자산 배분을 통해 위험을 최소화하면서도 다양한 투자 기회를 활용하는 연금 기금의 전략은 우리의 노후를 더 안전하게 지켜주기 위한 중요한 수단입니다.
연금 기금의 포트폴리오 전략에 대해 이해하는 것은 개인 투자에도 많은 영감을 줄 수 있습니다. 안정적인 수익을 얻기 위해 우리도 자산을 분산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꾸준히 투자하는 자세가 중요하겠죠? 이번 글이 여러분의 투자 이해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다음에도 유익한 정보로 찾아뵐게요. 감사합니다! 😊

* 이 게시물은 한국거래소의 지원을 받아 팀별 스터디를 통해 제작되었습니다. *
'대외활동 > 2024 KRX 퓨처스타 [카운팅스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운팅스타] 또 다른 만남을 기약하며..! 수료식 후기 (8) | 2024.12.17 |
---|---|
10월지 - 파생상품 거래 플랫폼, Ninja Trader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4.10.30 |
9월지 - 리츠(RIETs)로 리치(Rich)되기? (1) | 2024.09.22 |
9월지 - 에어버스와 보잉의 연료 해징 전략: 재미있게 풀어보는 항공 산업 이야기! ✈️ (4) | 2024.09.13 |
8월지 - CDS와 그리스 국가 부도 위기 (0) | 2024.08.28 |